물이 커피 맛에 영향을 줄까?
커피를 마시면서 커피에 들어간 물에 대해 깊게 생각해 본 적이 있는가? 아마 없을 것이다. 커피를 구성하고 있는 원두와 원두에 따른 맛의 차이는 바로 느낄 수 있어도 물 맛에 따라 커피 맛이 달라진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많지 않다.
물의 맛은 칼슘, 마그네슘, 나트륨, 철 등의 양이온 성분과 염소, 질산, 탄산, 황 등의 음이온 성분으로 차이를 낸다. 다시말해 미네랄의 비율에 따라 결정 된다고 볼 수 있다. 물 맛을 좋게 하는 성분은 칼슘, 칼륨, 이산화규소 등이고 반대로 물 맛을 나쁘게 하는 성분은 마그네슘 (쓴맛), 염소 (짠맛), 황이온 (무거운느낌), 철 (떫은 맛) 등이다. 우리가 보통 음용하는 생수는 약 20mg/l 의 마그네슘과 10mg/l 의 나트륨이 함유하고 있는 연수이다.
우리가 많이 알고있는 삼다수는 칼슘 2.5~4.0, 칼륨 1.5~3.4, 나트륨 4.0~7.2, 마그네슘 1.7~3.5 로 약알칼리성의 약경수이고 강경수로 유명한 물인 에비앙은 삼다수과 칼슘과 마그네슘 양이 약 20배 정도 차이가 난다. 칼슘과 마그네슘 함량의 차이로 삼다수는 깔끔하고 청량한 맛이 나는 반면 에비앙은 촉감이 부드럽고 (미끄럽다) 촉감이나 무게감이 다르게 느껴진다.
기준(단위: mg) | 칼슘 | 칼륨 | 나트륨 | 마그네슘 | 늬앙스 |
삼다수 | 2.5 ~ 4.0 | 1.5~3.4 | 4.0~7.2 | 1.7~3.5 | 깔끔, 청량 |
에비앙 | 54.0 ~ 87.0 | 1.0~1.3 | 4.4~15.6 | 20.3~26.4 | 부드러움, 무거운 바디 |
이렇게 커피의 원재료인 물의 가본 차이에 따라 커피의 결과적인 맛도 달라질 수 있다. 집에서 쉽게 확인 해 볼 수 있는 방법은 콜드브루를 내릴때 물을 삼다수와 에비앙으로 변화를 두고 테스트를 해보면 알 수 있다. 물에 따라 아로마, 플레이버, 바디, 캐릭터등에서 차이를 느껴 볼 수 있다.
아로마/바디 | 산미/단맛 | 쓴맛/밸런스 | 늬앙스 | |
연수 | 풍부 | 밸런스가 뛰어남 | 부드러운 밸런스 | 풍부함 |
경수 | 가벼움 | 약하게 느껴짐 | 쓴맛이 두드러짐 | 부정적인 후미 |
최근 커피숍들은 브리타 정수기를 설치하여 연수로 브루잉을 신경쓰는 커피숍이 많아졌다. 집에서 즐기는 홈카페에서도 물에 차이를 두어 테스트를 해보는 것을 추천한다. 다양한 테스트 경험이 커피에 대한 데이터를 쌓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. 이렇게 다양하게 커피에 변수를 두면 커피의 맛과 재미를 동시에 즐길 수 있다.
'커피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원두커피 보관 및 유지하는 법 (0) | 2022.07.08 |
---|---|
여과식 커피 드리퍼의 종류 (0) | 2022.07.04 |
브루잉 커피 맛을 표현하는 방법 센서리 (0) | 2022.07.01 |
스페셜티 커피와 커핑은 무엇일까? (0) | 2022.06.29 |
커핑의 슬러핑 Slurping 이란? (0) | 2022.06.2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