![]() |
![]() |
부자의 그릇
느낀점
- 어디선가 읽은 내용: 20대의 부는 운 30대의 부는 스마트함 40대의 부는 성실함에서 온다. 20대에 부를 얻더라도 30대 스마트하지 않으면 부를 잃기 쉽고 30대 스마트하게 부를 얻었더라도 성실하지 않으면 40대엔 부를 잃기 쉽다.
- 사람마다 각자 다룰 수 있는 돈의 크기가 있고 내가 준비가 되어 있지 않으면 돈을 담더라도 그 돈을 제대로 지킬 수 없다.
- 현재 나에게 어울리는 돈이 얼마일까? 어떻게 공부해야 무엇을 해야 그 돈을 키워 나갈 수 있을까?
- 0원에서 3000만원을 모을 때 기울여야 하는 노력, 3000만원에서 1억을 모을 때 기울여야 하는 노력, 1억에서 5억, 5억에서 10억을 모을 때 기울여야 하는 노력의 크기는 같다고 한다. 하지만 그 방법이 다를 뿐, 단계에 맞춰 어떤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지 고민해 보아야겠다.
- “부채는 재료, 금리는 조달 비용” 이 개념을 생각해 보지 못했다. 빚, 부채라는게 무조건 좋지 않다는 개념에서 빚, 부채가 기회비용이고 그에 따르는 금리는 그 기회를 사용하는 사용비라고 생각해 기회를 어디에 어떻게 잘 활용할 수 있을지 생각해 보아야겠다.
책요약
- 인간이 돈 때문에 저지르는 실 중 90퍼센트는 잘못된 타이밍과 선택으로 인해 일어난다
- 인간은 자신과 어울리지 않은 돈을 가지고 있으면 반드시 잘못을 저지르게 된다
- 사람에게는 각자 자신이 다룰 수 있는 돈의 크기가 있다.
- 돈을 다루는 능력은 많이 다루는 경험을 통해서 키울 수 있다.
- 돈은 그 사람을 비추는 거울이다
- 돈을 다루는 방법을 바꾸면 인생도 바꿀 수 있다.
- 돈은 곧 신용이 모습을 바꾼 것이다.
- 부자들이 공통적으로 하는말
- 무조건 빨리 시작해야한다. (실패를 만회할 기회가 많아지기 때문)
- 좋아하는 일을 해야한다. (한 일에 집중해야하기 때문)
- 부자가 두려워 하는 건 돈이 늘지 않는 리스크
- 한정된 기회를 자기의 것으로 만들려면 배트를 많이 휘둘러야 한다.
- 배트를 휘두르면 경험이 되고, 홈런을 치는 방법을 익히면 행운을 얻으며 홈런을 날린다.
- 비지니스는 ‘무엇을 하느냐’ 보다 ‘누구와 하느냐’ 가 더 중요하다
- 빚은 돈을 배우는데 좋은 교재이다.
- 빚은 결코 나쁜게 아니다. 부채와 금리를 잘만 다루면 오히려 도움이 된다.
- 부채금액은 균형을 보고 정하고, 금리는 그 돈을 조달하기 위한 비용
- 부채는 재료, 금리는 조달 비용
- 투자 가치 = 교환 가치
- 투자에서 가장 중요한 건 신용. 이를 판단하는 것은 경력
- 실행하는 경험이 곧 신용
- 돈에 관한 경험은 돈을 다뤄봐야만 쌓이는 것이다.
- 돈은 반드시 다른 사람이 가져온다.
- 돈은 세상을 순환하는 흐름과도 같다. 흘러가는 물을 일시적으로는 소유할 수 있어도 언제까지나 소유하지는 못한다.
- 부자는 자신의 돈을 반드시 그 금액에 어울리는 그릇을 가진 사람에게 준다.
- 성공에 필요한 건 도전 정신과 경험이다.
- 돈은 그 사람을 비추는 거울이다
- 사람에게는 각자 자신이 다룰 수 있는 돈의 크기가 있다
- 돈을 가져오는 건 반드시 ‘자신’이 아닌 ‘다른 사람’ 이다
- 돈 그릇을 판단하는 건 주변 사람들이다.
- 준비가 안 된 상태에서는 그 그릇보다 큰 기회가 오지 않는다
- 실패란 결단을 내린 사람만 얻을 수 있다. 경험의 가치
- 돈의 지배를 받지 말아야 한다 - 돈 걱정 때문에 새로운 도전을 하지 못하고 있다면 돈의 지배를 받고 있는 것이다.
- 신용은 지난 행동들의 결과이고, 지난 행동은 하루하루 사고해온 결과다.